[미스터 고 3D] 할리우드를 넘보는 영화 <미스터 고>! 주인공 링링의 숨겨진 이야기

2013.07.26
공유하기

할리우드마저 깜짝 놀라게 만든 영화 <미스터 고>

주인공 '링링' 200만 가닥 털의 비밀은?

 


안녕하세요, 코오롱 블로그지기입니다.

 

지난 7월 17일, <미녀는 괴로워> <국가대표>로 유명한 김용화 감독의 야심작 영화 <미스터 고>가 개봉했습니다. <미스터 고>는 개봉 전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바로 국내 최초로 풀3D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내세웠기 때문이죠.

 

<미스터 고>의 주인공은 사람이 아닌 고릴라입니다. 영화 <킹콩>이 생각나는 지점인데요. 아무래도 <킹콩>의 외모는 고릴라에서 착안을 했기 때문에 둘이 비교되는 것은 당연지사. 일단 <킹콩>은 세계 최고 수준의 CG기술을 자랑하는 할리우드에서 제작된 영화입니다. 영화에 적용된 CG의 질이 높다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것이죠. 그런데 이번 영화 <미스터 고>의 CG 수준도 만만치 않습니다. <미스터 고> 절대 할리우드에 뒤떨어지지 않는, 오히려 진보된 CG 기술을 선보여 관계자들을 깜짝 놀라게 만들었습니다.

 

전세계 영화 판에서 고릴라와 같이 온몸이 털로 뒤덮인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전면에 내세운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동물의 털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이죠.



 

 


2001년 픽사의 애니메이션 <몬스터 주식회사>의 주인공 '설리'도 털북숭이 캐릭터입니다. 이 애니메이션의 발표 당시 CG업계는 '설리' 때문에 깜짝 놀랐다고 합니다. 코오롱 블로그지기는 가끔 F(X) '설리' 때문에 깜짝 놀랍니다. 아무튼 털북숭이 캐릭터를 3D 애니메이션 전면에 내세운 것은 픽사의 기술적 과시(?)라고 표현한 평론가들도 있었습니다.

 

그럼 <미스터 고>의 링링을 볼까요?





우선 섬세한 털 묘사가 압권입니다. '링링'에 달려있는 털은 약 200만 개라고 합니다. '링링'이 한 번 움직이면 200만 개의 털이 따라 움직여야 합니다. 바람이 한 번 불어도 200만 개의 털이 모두 반응해야 합니다. 이는 수작업으로는 절대 불가능합니다.

 

과거 컴퓨터그래픽스는 아티스트의 기술적 역량이 매우 중요했지만, 지금은 사람의 기술력보다 솔루션의 기술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극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사람의 손은 물리적 한계가 있기 때문이죠. 200만 개의 털을 손으로 그리려면... 생각만 해도 벌써 손이 떨리네요. ^^;;





<미스터 고>의 제작사 덱스터필름은 200만 개의 털을 구현하기 위해 디지털 퍼(Fur) 제작 프로그램 '질로스 퍼(Zelos Fur)'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이 프로그램의 원리는 방정식입니다. 몸체의 움직임, 바람, 외부 물체와의 충돌 등 물리적 힘이 X값이라고 하면 털의 움직임은 Y값이 되는 것입니다.

 

즉 프로그램이 짜여진 방식에 따라 값을 계산하고 털의 움직임을 결과값으로 산출해 내는 것이죠. 이러한 방정식 계산이 없다면 그래픽 아티스트들은 일일이 털의 움직임을 머리 속으로 상상하면서 그려야만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솔루션이 생기면서 아티스트들은 예전보다 훨씬 더 자유롭게 작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됐습니다. 기술적 진보가 머리 속 상상으로만 머물러 있던 이들의 표현력을 증폭시켜 준 것입니다.




 

한편, 이렇게 털을 사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곳은 해외에도 ILM(Industrial Light&Magic), 픽사(Pixar), 웨타 스튜디오(Weta Studio) 3개 회사뿐이며, 아시아에서는 우리나라의 덱스터필름이 유일합니다. 이번 영화를 위해 세계적인 기술이 탄생한 것이죠.

 

'링링'은 존재하지 않는 고릴라지만 누군가 말해주지 않으면 눈치도 못 챌 만큼 진짜 같은 고릴라입니다. 가상과 현실이 혼동되는 순간이죠.





이렇게 컴퓨터그래픽스의 눈부신 발전은 가상과 현실을 구분하기 힘들게 만듭니다.

 

영화 <매트릭스>는 '우리가 알고 있던 세상이 모두 가상세계'라는 설정에서 출발합니다. 주인공 '네오'는 선구자인 '모피어스'로부터 이 사실을 알게 되고, 일련의 과정을 통해 완전히 깨닫는 순간 매트릭스의 세계가 숫자로 형성된 가상임을 체감합니다.

 

이처럼 <미스터 고>의 링링 역시 방정식에 의해 수치화된 값의 나열인 것이죠. 이제 영화의 시각효과(VFX)는 아티스트의 '그림'의 영역이 아니라 엔지니어의 '계산'의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물론 아티스트의 능력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아티스트의 표현력의 한계를 깨는 것은 엔지니어의 몫이 된 것이죠.

 

미학자인 진중권 동양대 교수는 오래 전부터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강조해왔습니다. 어쩌면 영화산업에서 시각효과 분야가 예술과 기술이 가장 잘 융합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결국 <미스터 고> '링링' 역시 예술과 기술의 합작품인 것입니다.

 

 

맨 위로